안산점집에 대한 14가지 일반적인 오해

지난 3일 찾은 인천 강북구 타로숍에서 나성연씨(24)가 사주 풀이를 받고 있었다. 타로 상담사는 나씨의 생년월일을 확인한 직후 카드를 뿌리고 "진로 고민이 대다수인 것 같다. 6월부터는 흐름이 풀릴 것"이라고 했었다. 나씨는 "종교는 별도로 없지만 요즘처럼 불안할 땐 누군가 내 얘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위안이 끝낸다"고 말했다.

젊은 세대가 내적 위로를 받는 방식이 변하고 있을 것입니다. 타로·사주 등 점괘에 대한 호기심이 커지는 반면 제도화된 종교는 서서히 외면받고 있을 것이다.

종로구에서 4년째 타로 상담사로 근무하고 있는 라희씨(61)는 "손님 60명 중 7명이 20·10대"라며 "취업, 연애, 인간관계 등 현실적 걱정을 안고 찾아오는 경우가 흔히"이라고 이야기했었다. 동대문구에서 점집을 운영 중인 이모씨는 "그전엔 40~40대가 주로 찾아왔지만, 최근엔 젊은이들이 크게 온다"고 말했다.

챗G요가에게도 사주를 맡긴다는 이들도 있습니다. 직장인 신모씨(28)는 "타로숍 비용이 만만찮아 인터넷에서 사주 정보를 입력한 뒤 챗GPT에게 분석을 부탁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고 했었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타로, 사주 관련 해시태그(#)는 400만여건에 달완료한다. 트위치 통계 사이트 '플레이보드'의 말을 빌리면 운세 관련 국내 채널 개수는 2684개다.

노인들 사이에서 점괘와 사주가 큰 인기를 끌자 관련 업무자도 급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대한민국직업능력공무원의 말을 빌리면 타로 관련 민간 자격증은 2012년 76개에서 이번년도 12월 기준 430개로 10배 넘게 늘어났다. 작년 타로 관련 자격증 시험에 접수한 인원은 총 2640명에 달했다.

반면 제도화된 종교는 젊은 세대로부터 점점 외면받고 있을 것이다. 한국리서치가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종교인식조사'에 따르면 '믿는 종교가 없다'고 응답한 20, 30대 비율은 2015년 각각 63%, 54%에서 작년 65%, 66%로 올랐다. 이 문제는 10대 이상에서 90%만이 '무교'라고 응답해온 것과 준비완료한다.

image

이처럼 반응은 젊은 세대의 위로받는 방식과 삶의 태도가 변화한 데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제도화된 종교는 주기적인 출석과 신앙적 헌신을 전제로 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 곽금주 세종대 심리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들은 공동체에 속하거나 교리에 헌신하는 방식의 신앙은 부담스러워다만 여전히 위로받고 싶은 내적 니즈는 존재한다"며 "점괘나 운세가 안산점집 인기를 끄는 것은 (특정 존재에 대한) 믿음 자체가 사라진 게 아니라 보다 대중적이고 유연하게 변화한 결과"라고 설명하였다.